리눅스1 GPU 모니터링 방법 비교 (gpastat, nvitop, nvidia-smi, etc.) 서론취준생에서 현업 AI 엔지니어로 전향하면서, 실무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을 빠르게 습득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특히, 회사의 리눅스 서버에 접속해 코드를 작성하고 협업하는 일은 일상이 되었는데요. 다행히 저는 입사 전부터 리눅스 커맨드라인과 Git을 어느 정도 다룰 줄 알았기에, 이런 기초적인 지식이 업무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아주 간단해서 입사 후 빠르게 배울 수도 있는 것들이기도 하지만, 이런 기본적인 것들을 모르고 시작하면 제일 불편한 건 결국 나 자신이더라고요. 특히 AI 엔지니어로서 GPU를 다루는 일은 필수적입니다. 그래서 저 역시 여러 개의 GPU를 병렬처리 하는 방법, 메모리 배치와 사용량 등에 대해 항상 고민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서버에 연결된 GPU 사용량.. 2024. 9. 27. 이전 1 다음